출처: http://joyzone.tistory.com/2088 [Happiness Single Choice!! Here is JoyZone.^^]
* 실존주의 상담
- 인간관: 실존적 존재로서 인간이 갖는 궁극적 관심사에 대한 자각이 불안을 야기한다고 본다. => 자신의 존재에 대한 실존적 불안을 발달시킨다.
- 실존적 불안은 모든 인간이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서 불안을 다루는 방식에 따라 건설적이거나 비건설적일 수 있다.
=> 내담자의 문제는 실존적 불안에 직면하여 자신의 실존을 스스로 선택하지 않고 회피하였기 때문에 일어난다.
- 인간은 선택할 수 있는 "자유"를 가진 존재로서,
스스로 결정하고 그 결정에 따라 "책임"을 져야한다.
- 삶의 목적과 의미를 찾기 위한 노력은 인간의 독특한 특성이다.
- 죽음과 비존재라는 인식을 확고히 할수록,
인간 삶의 유한성이 인간을 진지하게 살아가도록 자극한다.
- 개인관계/대인관계/실존적 고립 중 가장 근본적인 것은 실존적 고립
- 자기 인식의 능력을 확대하고 통찰과 선택을 높이도록 한다.
* 프랭클의 의미치료: 실존주의를 바탕으로 함
- 인간의 삶에서 의미를 찾지 못하는 것을 문제로 보고,
내담자가 삶에서 의미를 찾도록 도와주는 이론
- 실존주의와 달리 두 가지 기법 적용
1) 역설적 의도: 자신의 의도와 다르게 행동하도록 하는 것
ex.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 - 직면해라
2) 탈숙고: 어떤 형상에 대한 두려움이나 생각을 그만둬라
[출처] [직업상담학] 아들러(Adler) 개인주의 상담 / 실존주의 상담|작성자 으힛야호
6. 실존주의 상담 이론
1) 이론의 개요
- 실존주의 철학에 바탕을 둔 정의적 영역의 상담이론으로 May와 Frankle이 대표자이다.
- 인간 존재의 가장 중요한 문제는 "불안" 이다.
- 이 "불안"은 "시간의 유한성, 죽음, 존재하지 않는것에 대한 자각"에서 기인함
- 문제의 해결 방법은 "인간 존재의 참된 의미를 발견"하는 것이다.
- 인간의 부적응 행동의 원인은 삶에서 의미를 찾을 수 없는 실존적 신경증이나 패배적 정체감에서 비롯
2) 기본가정
① 인간존재의 불안의 원인은 시간의 유한성과 죽음에 대한 불안에서 기인된다.
② 문제 해결의 방법은 인간존재의 참된 의미를 발견하는데 있다.
③ 인간의 자기책임, 자기존재의 의미, 가치에 대한 자신의 선택을 기본 전제로 출발한다.
④ 실존적 신경증은 상담자와 내담자의 인간관계의 만남을 통해서 치료될 수 있다고 전제한다.
3) 상담기법
① 의미요법
ⓐ 내담자의 성격에서 무의식적이고 정신적인 요인을 자각하게 하는 의미치료
ⓑ 내담자이ㅡ 자기 책임의식을 갖게 하는 실존분석
② 현존분석
ⓐ 내담자의 내적 생활사를 밝혀 그 세계내의 존재의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
ⓑ 내담자의 생활사, 행동 등을 관찰, 기술하여 내담자의 내적 세계의 의미를 해석하는 방법
4) 상담의 특징
① 문제의 증상에 대한 내담자의 태도에 관심을 둔다.
② 전에 불안을 일으킨 불안이 재발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불안을 중시한다.
③ 기대불안의 치료는 역설적 지향의 방법을 사용한다.
④ 지나친 자기의식과 반성에서 벗어나게하는 반성제거의 방법을 사용한다.
⑤ 상담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생의 적극적인 가치를 자기 속에서 발견하여 인생의 목표를 긍정적으로 만드는 것이다.
'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-1-(1) 정신분석 상담 (0) | 2018.08.09 |
---|---|
2-1-2 개인주의 상담 (P38, 4강 ~ 5강) (0) | 2018.08.07 |
2-1-(5) 형태주의 상담 (P.55, 8강) 내용정리요망 (0) | 2018.08.04 |
2-1-(6) 교류분석 상담 (0) | 2018.08.02 |
2-1-(7) 행동주의 상담이론 (P061.10강) (0) | 2018.08.01 |